바로가기 메뉴


검색

서브메뉴영역

본문영역

과학기술계소식

과학기술계소식상세정보
[과학계 이젠 바꾸자] 퇴출! 논문조작 2006-01-06 10:54:37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 null
  • tweeter
  • facebook
연구정직성 관리-내부고발자 보호를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 연구팀이 지난해 ‘사이언스’에 발표한 복제배아 줄기세포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드러나 과학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이번 사건은 국내 과학계 연구윤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논문 조작, 저자 표시 우선순위, 경제적 이해 관계 등 연구윤리와 관련된 핫이슈를 짚어 보는 내용을 살펴본다. 
 
“과학자 가운데 3분의 1 이상은 모순 되는 사실을 무시하거나 데이터를 위조한 적이 있다.”
 
지난해 6월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된 충격적인 내용이다. 미국 미네소타 헬스파트너 연구재단의 브라이언 마틴슨 박사팀이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는 3247명의 과학자를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연구 정직성 관리국 설립 계기 만든 사기극
 
최근 뉴욕타임스는 과학저널이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연구자들의 기만행위가 많아졌다고 분석했다. 더 많은 논문을 유명 저널에 더 빨리 실어야 연구비를 따낼 수 있다는 것이 연구자들에게 중압감으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미국의 ‘울리치 정기간행물 디렉토리’에 따르면 1980년 3만 개에 못 미치던 과학저널이 2005년에는 5만4000개 이상으로 대폭 늘었다.
 
황 교수 사건 못지않게 과학계를 뒤흔든 논문 조작사건이 2002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있었다. 사건의 주인공은 노벨상 수상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구성과를 ‘사이언스’ ‘네이처’ 등에 잇달아 발표했던 얀 헨드리크 쇤 박사. 쇤 박사는 16건의 자료 조작이 들통나 벨연구소에서 해고됐다.
 
미국의 과학스캔들 가운데 1980년대 초 존 다르시라는 젊은 심장학자의 사기극을 빼놓을 수 없다. 다르시 박사는 하버드대와 에모리대에서 썼던 100편 이상의 논문을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연방정부는 보건부 산하에 과학연구의 기만행위를 조사하는 기구인 ‘연구정직성관리국(ORI)’을 설립했다. 이후 미국 대부분의 대학에 ORI가 설치됐다.
  
       
▲ 많은 논문을 유명 저널에 빨리 실어야 연구비를 따낼 수 있다는 중압감 때문에 과학자들이 데이터를 위조하거나 논문을 조작하는 부정행위가 늘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국의 ‘연구정직성관리국(ORI)’처럼 부정행위를 조사할 상설 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네이처 

내부 고발자 보호 필요성 말해 주는 독일 사례
 
10여 년 전 독일에서도 대규모 논문조작 사건이 벌어졌다. 김명진 성공회대 강사(과학기술학)는 “1990년대 말 독일에서 있었던 ‘헤르만-브라흐 사건’은 한국 과학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프리드헬름 헤르만 박사와 마리온 브라흐 박사는 유전자 치료와 암 연구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분자생물학자였다. 두 사람은 1990년대 초 베를린의 한 연구센터에서 만났는데 이미지 파일을 ‘뒤섞고 잘라 붙이며’ 데이터를 수십 차례 날조했다. 둘의 부정행위는 1997년 연구팀의 한 연구원의 제보로 드러났다.
 
독일연구재단(DFG)은 2년간 철저하게 조사해 1985∼1996년 헤르만이 저자로 들어간 347편 중 98편(53편은 브라흐와의 공저)이 조작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독일 과학계는 기만행위의 엄청난 규모에 경악했고 이 사실이 너무 늦게 드러난 것에 당혹해했다. 연구팀의 젊은 연구자들은 데이터 조작을 오래전에 알았지만 앞날을 염려해 문제제기를 못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독일 대학은 젊은 과학자들이 상담할 수 있는 옴부즈맨(민원조사관)을 두어 부정행위 고발에 대한 독립적 중재자 역할을 하도록 했다. 한국에도 내부 고발자를 보호할 시스템이 절실하다.
 
상설 기구로 선진화된 연구 분위기 만들어야
 
국내에서도 과학자의 부정행위는 적지 않을 것이라고 관련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황 교수 사건 이전에도 국제적으로 떠들썩했던 부정행위가 있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방문연구원으로 근무하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P 박사가 1997∼2001년 발표한 8편의 논문이 표절로 판명됐던 사건이다. 이 사건은 2004년 ‘네이처’ 1월 1일자에 크게 보도됐다.
 
서울대 의대 의사학교실 김옥주 교수는 “한국의 과학연구가 선진화되려면 미국처럼 상설화된 ORI가 설치돼야 한다”며 “그래야 정직하게 연구하고 누구라도 부정행위를 제보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KAIST와 서울대가 ORI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출처 : 동아일보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Main

사이트정보안내 및 카피라이터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