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검색

서브메뉴영역

본문영역

과학기술계소식

과학기술계소식상세정보
한국發 ‘바이오 혁명’ 불붙었다 2005-10-20 10:17:34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작성자 : null
  • tweeter
  • facebook
정부가 세계줄기세포허브를 한국에 개설한 데에는 세계무대에서 줄기세포연구의 주도국가가 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다.
 
서울대병원 내에 허브가 개설됨으로써 기초연구는 물론 임상연구가 용이해져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것도 의미가 있다. 황우석(黃禹錫) 서울대 석좌교수가 소장을 맡고 안규리(安圭里)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가 임상분야 총책임을 맡은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 노무현 대통령과 부인 권양숙 여사가 19일 세계줄기세포허브 개소식에서 참석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왼쪽부터 크리스토퍼 쇼 영국 런던대 의대 교수, 영국의 이언 윌머트 박사, 미국의 제럴드 섀튼 교수
 
▽어떤 일을 하게 되나=황 교수팀의 연구원 5명을 비롯해 20여 명의 연구원들이 상주해 환자의 등록 및 체세포 채취와 보관 및 줄기세포 배양 등의 일을 하게 된다. 또 미국과 영국에서 세계줄기세포허브의 한 조직인 해외줄기세포은행이 설립될 예정이어서 상호 네트워크체제를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외국인의 체세포 채취 및 배양 등도 이곳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연구팀은 세부적으로 △핵이식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 특화 △연구 활성화를 위한 줄기세포 관련 강좌와 국제연구발표회 개최 △각국 허브에 줄기세포 분양 등의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각국 허브의 독자적 특성은 살리되 긴밀한 상호협력 체제 확립 △인력과 장비의 상호이용 △각국의 법률과 규제에 대한 공동 협력 △서울허브의 역량강화를 위해 미국과 영국 해외줄기세포은행과의 협력 등에 대해 각국 주요 연구팀과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허브를 각국에 흩어져 있는 줄기세포은행의 국제본부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허브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경우엔 파킨슨병 척수손상 등의 신경질환, 당뇨병, 녹내장, 청각장애 등 난치성 질환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를 위해 허브에서는 11월부터 난치성 신경질환 환자를 중심으로 환자등록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 이를 위해 환자 선정 가이드라인을 정할 예정이다. 등록환자 중 자체 운영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친 뒤 선발된 사람을 대상으로 체세포 채취가 이뤄진다.
 
▽남은 과제는=세계줄기세포허브는 11월부터 당장 환자들을 대상으로 등록을 받는다고 하지만 임상에 적용하기까지는 5∼10년이라는 상당한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등록=치료’라고 생각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후 환자들을 어떻게 관리하며, 앞으로 새로운 복제기술을 개발했을 때 특허권을 어떻게 처리할지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협의가 없는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세계줄기세포허브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생명윤리적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체세포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난자기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나 규정 또한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대한 법률 22조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친 난치병 치료 목적에 한해 체세포복제를 허용한다는 막연한 방침만 명시돼 있다.
 
허브 추진위원인 서울대병원 안과 박기호(朴杞好) 교수는 “환자 등록은 줄기세포 연구 및 치료와 관련해 환자 수를 확보한다는 것”이라며 “당장 체세포 복제나 치료를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면 담당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담당부서
홍보부
담당자
장현진
연락처
02-3420-1244
Main

사이트정보안내 및 카피라이터영역